인명용 한자
부수별 획수기준
전체

※ 성명학에서는 필획법이 아닌 원획법을 사용하고 있으며, 한자의 획수가 인터넷 또는 사전과 획수가 다를 수 있습니다.

  • : 모,방향

    자원 : 土, 4획

  • 仿

    : 비슷할,본뜰

    자원 : 火, 6획

  • : 동네,절

    자원 : 土, 7획

  • : 방활할, 거닐

    자원 : 火, 7획

  • : 삽살개, 섞일, 클

    자원 : 土, 7획

  • : 방해할, 해로울

    자원 : 土, 7획

  • : 방,집

    자원 : 木, 8획

  • : 밝을,비로서

    자원 : 火, 8획

  • : 박달나무, 다목

    자원 : 木, 8획

  • : 놓을

    자원 : 金, 8획

  • : 클,두터울

    자원 : 水, 9획

  • : 본뜰,의지할

    자원 : 火, 10획

  • : 두루,널리

    자원 : 土, 10획

  • : 꽃다울,향기

    자원 : 木, 10획

  • : 방합, 민물조개

    자원 : 水, 10획

  • : 방주, 배, 뗏목, 쌍배

    자원 : 木, 10획

  • : 기름, 살찔, 비계

    자원 : 水, 10획

  • : 길쌈, 지을, 실

    자원 : 木, 10획

  • : 찾을,방문할

    자원 : 金, 11획

  • : 나라,서울

    자원 : 土, 11획

  • : 곁,의지할

    자원 : 火, 12획

  • : 도울

    자원 : 木, 12획

  • : 둑,방비

    자원 : 土, 12획

  • : 배

    자원 : 木, 12획

  • : 표할,패

    자원 : 木, 14획

  • : 비슷할,닮을

    자원 : 火, 14획

  • : 비 퍼부을

    자원 : 水, 14획

  • : 패, 방 붙일, 방목

    자원 : 木, 14획

  • : 돌소리,넘쳐날

    자원 : 金, 15획

  • : 인동덩굴,우엉

    자원 : 木, 16획

  • : 오줌통, 쌍배

    자원 : 水, 16획

  • : 도울

    자원 : 木, 17획

  • : 헐뜯을, 비방할

    자원 : 金, 17획

  • : 클,높을

    자원 : 土, 19획

王(4획) → 玉(5획) 氵(3획) → 水(4획)
扌(3획) → 手(4획) 犭(3획) → 犬(4획)
忄(3획) → 心(4획) 礻(4획) → 示(5획)
耂(4획) → 老(6획) 衤(5획) → 衣(6획)
艹(4획) → 艸(6획) 罒(5획) → 网(6획)
月(4획) → 肉(6획) 辶(4획) → 辵(7획)
阝(우부방, 3획) → 邑(7획) 阝(좌부변, 3획) → 阜(8획)